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수많은 예비후보들이 선관위에 등록하고 있다. 대부분 한나라당 일색이다. 민주당이나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무소속 등은 많지 않다.
의정부·양주·동두천은 한나라당이 야당일 때도 후보군이 두터운 지역이었다. 정권을 잡은 지금은 쏠림현상이 더 심해 너도 나도 공천을 받으려 야단법석이다. 일반 유권자들은 예비후보들이 누가 누군지 제대로 모를 수밖에 없다.
한나라당이 문전성시를 이루다보니 반대급부로 희한한 소문이 끊이질 않는다. 지난 2006년 5.31 지방선거 때 의정부·양주·동두천에서 불거졌던 이른바 돈공천 사건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나온다. 모양새는 전혀 다르지만 시장후보의 경우 중앙당 입김의 계파 안배로 전략공천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늘상 유사한 양상이 반복되면서 선거는 축제가 아니라 전쟁터가 된다. 공천에서 살아남은 자들이, 본선에서 또다시 경쟁자들과 아귀다툼을 벌인다. 정신없이 싸우다보니 돈선거 등 불법선거가 판을 치고 결국 구속되거나 당선이 무효되는 사태도 벌어진다.
특히 공천에서 탈락한 사람들은 결과를 쉽게 수긍하지 않는다. 공천결과가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공천권자와의 친분, 뒷거래 등을 의심한다. 그래서 유권자들에게 직접 심판받겠다는 생각으로 무소속 출마도 불사한다.
유권자는 선거의 들러리가 아니라 주인이다.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이같은 사태를 막고 유권자들과 함께 하는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공천과정부터 투명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공천결과의 타당성을 유권자들에게 공개하는 것은 그래서 바람직하다.
후보자들이 승복하지 못하는 공천은 후폭풍이 따른다. 기준도 없이 무조건 결과에 승복하라는 요구도 낯뜨겁다. 정당 공천을 폐지해야 마땅하지만 그게 현실정치라면, 매니페스토 운동처럼 공천결과 공개운동을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모든 정당에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