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통계자료 활용
양주시가 시책 창안사업으로 경기도로부터 승인받아 추진중인 축산농가 집단화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이 2003년 통계자료를 활용했는가 하면 제시된 자료도 일부 엉터리여서 논란이다.
시는 지난해 10월5일 사단법인 ㅈ연구원과 5천27만원에 학술용역을 계약하고 축산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지난달 26일 있었던 중간발표회 보고서를 보면, 2004년 통계연보를 활용한 나머지 최종 자료가 2003년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ㅈ연구원은 이 자료를 근거로 농축산 인구현황, 농가수, 사육현황, 축산폐수 발생현황, 비료공급현황 등을 제시한 뒤 학술용역 주 목적인 축산마을 조성계획 및 대상지 선정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출처가 양주시 농축산과라고 밝힌 2004년 허가 및 신고대상별 축산폐수 발생량 등은 신고미만 축산농가 폐수가 하루 906톤이라며 신고대상 961톤과 엇비슷하다고 밝히는 등 이해못할 데이터들이 나돌았다. 신고미만 양돈농가에서는 613톤이 발생한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양주시 양돈협회가 밝힌 2005년말 신고미만 양돈농가는 3곳, 이곳에서 나오는 가축분뇨는 고작 0.25톤에 불과하다.
또한 1개 양돈마을(40개 농가 8만두 기준)에서 발생하는 한달치 분뇨 2만여톤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축산단지 조성’이라는 계획을 위해 각종 데이터를 조합하고 부실한 논리를 개발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양주시 관계자는 “축산단지 조성이라는 큰 틀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그러한 지적들이 있어서 내용을 보완중”이라며 “최종보고서를 대폭 수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ㅈ연구원측도 “누가 봐도 타당한 자료는 통계연보이지만, 양주시의 요청에 따라 전달받은 최근 자료로 보고서를 업데이트 하는 중”이라고 해명했다.
한 양돈업 관계자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계획으로 예산만 낭비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양주시는 이달 22~23일경 최종보고회를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