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창 시장이 말단 단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등 동두천시 지역자율방재단 운영이 엉터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율방재단은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예산(2016년/도비 1천500만원, 시비 1천662만원)을 지원받으며 재난 예방과 복구 등에 나서는 민간조직이다. 2007년 8월28일 창단된 동두천시 지역자율방재단은 13개반 19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두천시는 지역자율방재단 운영조례가 있음에도 이를 묵살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연 2회 8시간 이상의 방재교육 및 연 1회 4시간 이상의 훈련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본인도 모르게 방재단에 가입된 경우도 있었다. 단체보험 가입은 무시됐다.
특히 방재단 조직도를 보면 재난 발생 시 이를 총괄지휘해야 할 오세창 시장이 재난통신반의 말단 단원으로 되어 있고, 고인이 된 사람도 여전히 단원에 포함되어 있는 등 관리가 엉터리였다.
이에 대해 동두천시 관계자는 2월2일 “교육 등에 대한 조례 내용이 강제조항으로 되어 있는데, 상위법에는 근거가 없다”며 “자율조항으로 조례를 개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은 취임 전(2007년 4월) 아마추어 무선 햄 활동을 해서 가입되어 있었다. 방재단 가입여부를 모르는 경우는 단체가입을 했기 때문이다. 조직을 전반적으로 정비하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동두천시는 예산 1천400여만원을 들여 지난해 9월27~28일 강원도 삼척에서 1박2일 방재단 리더십 워크숍을 가졌는데, 이 워크숍 참석자 71명 중 방재단원이 아닌 지역유지들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게다가 오 시장은 물론 방재단원도 아닌 부인이 시장 전용차를 이용해 참석한 사실이 밝혀졌다.
동두천시는 또 이 워크숍을 위해 식대, 유류대, 보험가입비, 피복비 등에 써야 할 예산(기타보상금)을 행사실비보상금으로 목적 변경하여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동두천시 관계자는 “시장 부부는 격려차 방문한 것이었으며, 두 분을 위한 방은 무료로 대여했다. 불참한 방재단원 대신 인원을 맞추기 위해 지역유지들을 불렀다”고 해명했다.